가족끼리 운영한다는 점주
순수익 800만 원이라고
인 당 270만 원 수준
판매 수수료 30~40%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지 않고, 가족 경영으로 편의점운영할 경우 얼마를 벌 수 있을까.

지난 21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A씨가 ‘현직 편의점 점주 폐기‘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 A씨는 “하루 만에 폐기 상품이 총 14개 나왔다”며 삼각김밥, 도시락, 김밥 등이 올려져 있는 매대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을 본 네티즌이 “아르바이트생에게 나눠 주는 게 어떻냐”고 댓글을 달자, A씨는 “아르바이트 없이 가족 3명이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A씨는 “이전에 작은 슈퍼를 운영했는데 물건 발주할 곳이 다 없어져 대안을 찾던 중 편의점을 선택했다”며 “이때 발생한 초기 자본은 대략 1,500~3,000만 원 정도 소요됐다”고 했다.

또 “프랜차이즈 편의점을 운영하면 월 매출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며 “유명 프랜차이즈 편의점인 G사와 C사의 경우 월 30%, E사는 월 40% 정도 된다”고 설명했다.

A씨는 수수료를 30% 납부하고 있다며 “전기 사용료, 임대료 등을 다 냈을 때 순이익이 800만 원 정도 나온다”고 적었다. 단순 계산으로 휴일 없이 일하고 3명이 각자 약 270만 원의 월급을 받아 가는 셈이다.

A씨는 “폐기 상품이 나올 때마다 아까운 마음에 밥도 안 사 먹고 끼니로 때운다”며 “폐기 상품은 하루 평균 5개 이상 발생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상품 기한이 짧아 폐기가 유독 많은 도시락과 김밥의 경우 구색 맞추기용”이라며 “편의점 상품 중 이윤이 많이 나오는 건 음료수들이 차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편의점산업협회는 지난 2018년 CU, GS25, 세븐일레븐 등 5개 편의점 본사가 점주들에게서 과도한 수수료를 떼 간다는 비판에 대해 반박했다.

당시 한편협은 “본사가 정액 투자하는 시설·집기, 판매 장비, 인테리어 비용에 대한 감가상각을 고려하면 경영주 수익률은 90%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맹본사가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IT, 물류, 상품 개발 등의 비용을 고려하면 본사가 실질적으로 취하는 영업이익률은 1~3%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
+1
2
+1
0
+1
5
+1
1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8 전체 댓글

  1. 그럼 고작2천투자하고 얼마나벌생각이였냐
    본사에서 시설이랑 매대다맞춰준거 물건값1000만원에 간판값 조금내고 들어온거면서 뭘바람 니가낸돈은 고작2천이란걸 늘생각해라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