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란, 개인정보 유출 인정
‘가품 논란’ 겹쳐 신뢰도↓
개인정보위, 과징금 5억 원 부과

BALLAN(발란)의 등장은 충격적이었다.

발란은 ‘명품을 파는 온라인 플랫폼’이라고 홍보하며 사람들을 끌어모았다. 코로나19로 인해 특수를 누린 업체 중 하나로, 사람들이 명품을 사고 싶은 심리를 온라인으로 표출할 수 있는 창구였다.

주요 명품 플랫폼 ‘머스트잇’, ‘오케이몰’, ‘트렌비’와 비교해봐도 발란이 더 많은 시장을 점유하고 있었다.

연간 거래액 3,000억 원을 돌파하며 기업 예상가치는 8,000억 원에 달하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명품 브랜드 상품을 유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발란은 곧 주춤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과 4월에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피해를 보면서부터다. 고객 이름·주소·휴대전화 번호가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발란의 신뢰도에 금이 갔다. 명품 판매의 핵심은 결국 신뢰도에 있다.

판매하는 플랫폼에서 명품이라는 사실을 보증해주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명품을 ‘믿고 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신뢰도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

발란은 고객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허가받지 않은 외부 접속자가 회원 정보에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접근한 정황을 발견했다”며 “즉각적으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의심 경로를 차단하고 웹사이트 취약점 점검을 포함한 보완 조치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해킹 발생 당일 발란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자진 신고해 조사를 진행했으며, 침입 방지 시스템을 추가로 도입해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발란 관계자는 “유출 가능성이 의심되는 고객 정보는 일부에 불과하며, 주민등록번호는 수집하지 않기에 유출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파장은 가라앉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확인된 고객정보만 162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에는 나이키 스캇 한정판 운동화가 가품 판정을 받았다는 소비자의 문제 제기로 또다시 논란이 일었다.

해당 소비자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발란에서 나이키 한정판 신발을 구입했으나, 전문가에게 맡긴 결과 정품이 아니었다”고 호소한 것.

이를 본 소비자들은 “가뜩이나 가품이라고 의심되거나 스크래치나 흠집에 대해서 예민한 명품 시장에서 발란이 신뢰도를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두 가지 논란이 겹친 상황에서 지난 10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발란에 약 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발란은 사용하지 않는 관리자 계정을 삭제하지 않고 방치한 것,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접근을 제한하지 않는 등의 보호조치를 소홀히 한 것, 개인정보 유출 사실 통지 과정에서 유출된 개인정보 항목과 유출 시점을 누락해 통지한 것 등이 이유였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발란에게 내린 과징금은 5억 1,259만 원, 과태료는 1,440만 원이었다. 발란은 이와 같은 결정에 대해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위원회의 결정을 엄중히 받아들인다”고 전했다.

지난 5월 발란 측은 사이버 보안 기업 SK 쉴더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실시간 보호 체계를 구축해 고객들에게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1
+1
1
+1
2
+1
1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전체 댓글 1

  1. 한번 신뢰를 잃으면 회복이 많이 어렵긴 하죠.
    의심은 의심을 낳고 또 그 의심은 불구매로 이어지니까요.괜한 광고 해주는 연예인 욕 먹이지 말고 착실하게 해야 한다 생각 합니다. 명품이라는 고가의 제품을 판매 할수록 검수도 철저 해야죠..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