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 집중호우, 인명피해 19명
일본 도쿄 ‘지하 신전’으로 불리는 시설
기둥만 59개, 초대형 물탱크
인근 지역 침수 피해 90% 이상 줄여

지난 8일을 시작으로 서울·경기를 포함한 중부지방에 기록적인 호우가 쏟아지면서 11일 기준 1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을 입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이번 중부지방 집중호우는 지대가 상대적으로 낮고 배수시설이 미비한 서울 강남 일대를 그야말로 초토화시켰는데, 강남역 인근에는 11년 만에 도로와 인도에 빗물이 가득 차 차량이 침수됐다.

이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한 상황 속, 인근 국가인 일본 도쿄에 설치된 거대 빗물 저장시설 사진이 온라인에서 확산되며 화제가 되고 있다.

일본 도쿄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고 충적토의 평지가 넓게 펼쳐있기 때문에 기후 및 지질학적 측면에서 홍수에 취약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 도시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대규모 토목사업을 시행해왔다. 일본 사이타마 현 가스카베에 설치된 초대형 빗물 저장시설 역시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설인데, 이 물탱크는 길이가 177m, 폭이 78m, 높이가 25m에 이른다.

해당 물탱크는 천장을 59개의 콘크리트 기둥이 받치고 있는데 쭉 늘어선 거대 기둥들 때문에 ‘지하의 파르테논 신전’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마치 좀비 영화 촬영장을 연상케하는 이 지하 신전은 1992년 짓기 시작해 2006년 완공된 이 초대형 방수로는 설치된 뒤 장마와 태풍으로부터 일본 도쿄 및 수도권 지역을 지켜주고 있다.

이 초대형 물탱크 수조에는 축구장 두 개 크기에 달하는 18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데, 비가 많이 내려 인근 하천이 범람 위기에 놓이면 6.3kg의 터널을 통해 빠른 속도로 물을 끌어오면서 에도강으로 빼낸다.

특히 2004년 10월에는 일본에 거대 태풍이 몰아닥쳤을 때 총 672만㎥의 물을 빼내면서 침수 피해를 줄였고, 현재까지도 긴 장마가 이어질 때면 시설이 가동되어 1년에 약 7회 정도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재난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해당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동안에는 일부 시설을 공개해 무료 견학을 가능케 하고 있다. 또한 이 시설은 독특한 분위기 덕에 영화나 광고 촬영 장소로도 종종 활용된다.

이 뿐만 아니라 일본은 도쿄를 제외한 지방 각지에서도 비슷한 홍수 피해 방지 시설이 건설되었거나 현재 만들어지는 중이며, 이 같은 지하방수로로 인해 인근 하천 유역의 비 피해가 90%가량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집중호우가 일어난 다음날 입장문을 발표했고, 향후 10년간 1조 5,000억 원을 들여 장기간 중단됐던 ‘6개 상습 침수지역 내 빗물터널 건설’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3
+1
1
+1
5
+1
4
+1
3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19 전체 댓글

  1. ‘오세이돈’ 이라면서 재난을 이용해 오시장
    공격하던 댓글 알바들
    폭우대비 시설건얼은ㆍ 중단시킨게 박원순이라는 사실에는 아닥
    중공괴질로 사망한 사람들은 재앙이 책임이라고 하지그래

  2. ‘오세이돈’ 이라면서 재난을 이용해 오시장
    공격하던 댓글 알바들
    폭우대비 시설건설을 중단시킨게 박원순이라는 사실에는 아닥
    중공괴질로 사망한 사람들은 재앙이 책임이라고 하지그래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