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 광고 명칭 오기 논란
‘이순신 장군’ 소속 문명이 중국?
한국 누리꾼·게임 이용자 ‘뿔났다’
서경덕 “선 제대로 넘었네”

모바일 게임광고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중국 게임사가 만든 모바일 게임 광고 때문인데, 한국 누리꾼게임 이용자들이 분을 삭히지 못하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일까.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 게임 개발사 4399의 한국 법인인 4399코리아는 최근 신작 모바일 게임 ‘문명정복: Era of Conquest(이하 문명정복)’ 광고에서 이순신 장군의 소속 문명을 ‘중국 문명’이라고 표기했다.

지난 15일 글로벌 시장에 출시된 문명정복은 한국, 로마, 아랍, 일본, 중국 등 전 세계 8대 문명을 체험할 수 있는 모바일 전략게임이다.

지난 16일 4399코리아는 국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해당 게임의 광고를 게재했고, 광고 이미지에는 이순신 장군의 소속 문명이 중국 문명으로 적혔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누리꾼과 게임 이용자들은 거세게 항의했다. 일부는 해당 광고의 표기가 중국의 역사 왜곡 행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누리꾼들은 “정신 나간 것 아니냐”, “중국 사람들 대상으로 만든 광고를 직원이 그대로 번역했을 것”, “정말 미친 것 같다”, “역시 4399” 등의 비판을 내놨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SNS에 “갑자기 DM으로 너무나 많은 제보가 들어와 확인해 봤더니 정말이지 말문이 막힌다. 선을 제대로 넘었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4399코리아는 해당 명칭이 잘못 기재됐음을 확인하고 광고를 즉시 삭제했다.

회사 측은 이용자 커뮤니티 공지사항에서 “문명정복은 글로벌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어, 광고 제작사에서는 여러 나라의 광고 이미지를 동시에 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지 제작을 위해 작업하던 중 편집 실수가 발생했으며, 별도 검수받지 않은 상태로 광고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다.

종합하면, 이미지 편집상에서 생긴 실수로 게임 내에서는 소속 문명을 올바르게 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누리꾼들과 이용자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서 교수는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중국이 게임을 통해 지속적인 문화공정의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는 것”이라며 중국 게임사들의 문화공정 시도를 예로 들었다.

앞서 지난 2020년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가 국내에 출시한 모바일 게임 ‘샤이닝니키’가 논란이 된 바 있다. 이 게임에는 한복을 모티브로 한 의상이 등장했는데, 당시 중국 이용자들은 한복을 중국 전통 의상이라 주장했다.

이에 국내 이용자들이 반발하면서 논란이 커졌고, 결국 페이퍼게임즈는 샤이닝니키의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지난해에는 댓게임컴퍼니의 제노바 첸 대표가 ‘갓’을 중국 전통문화라는 취지로 얘기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서 교수는 “모바일 게임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접근성이 좋은 만큼 잘못된 문화와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기에 우려가 커지는 게 사실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중국 게임에서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또다시 왜곡한다면, 비난과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응해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2
+1
1
+1
19
+1
3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15 전체 댓글

  1. 게임캐릭터랑도 보면 라이즈오브킹덤즈 표절급인데
    같은 중국겜도 문명구분하고 설명을 확실히 해주는데 한국이름 훔쳐쓰면서 하는게 뭐냐….

  2. 정말 정치인들 대한민국 국민을 개돼지로 취급한다는 말 사실이고 정말 개 돼지라는 말 들을만하네….언론은 일제식민지때주터 선동에는 달인이고 국민들은 어깨위의 물건을 장식으로 달고 다니고…참 한심하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