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 심리로 해외 여행자 증가
여행사 연락 두절 등 피해 사례 속출
예약 전 주의사항 검토 권장
항공권 가격이 비싸졌음에도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삼성카드가 최근 발표한 올해 4~5월 항공 업종 건당 이용액에 따르면 평균 37만 7,0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1만 2,000원에 비해 26만 5,000원 증가했다. 항공사의 구인난과 유가 상승으로 인해 항공권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보통 항공권 가격이 많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곤 하지만 이용 건수는 오히려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 늘었다고 한다. 최근 해외 일부 국가가 격리 면제 등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완화해 보복 소비 심리가 작용하면서 이용 건수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카드 역시 지난 4월 신용카드 사용액 중 항공 분야는 599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26%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전체 여행 분야 결제액은 2,33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6% 증가했다고.
이렇게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면서 금융 사고도 잇따라 생겨나고 있다.
우선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온라인 여행사나 해외 항공사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항공권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있는데, 항공사의 사정으로 항공편 이용이 불가하게 되면 글로벌 온라인여행사는 항공사가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았음에도 자체 약관을 적용해 취소 처리 수수료를 요구한다고 한다. 최악의 상황으로 판매자와 연락이 두절될 수 있다.
일례로 A씨는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 홈페이지에서 8월 일본 도쿄를 경유해 인천에서 호놀룰루로 가는 왕복 항공권 1매를 189만 원에 구입했다. 해당 항공권은 경유지에서 입국 수속 후 출국이 필요한 항공권이지만 현재 일본의 비자면제가 정지돼 항공편 이용이 불가해 환급을 요구하니 과다한 수수료를 부과했다.
또, B씨는 지난 3월 마찬가지로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홈페이지에서 이달 중순에 방콕을 경유해 인천에서 태국 푸껫으로 가는 항공권을 172만 원에 예매했다. 이후 일정 변경이 필요해 연락했으나 사업자와 연락이 불가했다고 한다.
이 밖에도 항공편 결항 후 결제 취소가 아닌 크레디트 환급, 변경된 항공권의 일부 구간 탑승권 미발급, 개인 사유로 항공권 취소 및 환급을 요구했으나 거부 등의 피해 사례들이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항공권 금융 피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항공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라고 설명했다.
먼저 해외 항공권을 사기 전에는 ‘소비자 주의사항’을 살피는 것이 좋다. 계약 전에 취소 가능 여부와 수수료 관련 규정 등 거래 조건 검토를 당부했다. 무엇보다 예매 대행사나 항공사의 이용 후기를 꼼꼼히 읽기를 권장했다.
결제하면서 환급 방법을 유심히 살펴보며 포인트가 아닌 현금이나 결제 내역을 취소하는 방식으로 환불하는 상품인지 따져보라고 한다. 예약을 마쳤다면 출발 전까지 항공기 결항 여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여기가 대우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건설 을 구분 못하는 수준의 기자가 있는 언론사 인가요? ㅋㅋㅋ 코메디도 이런 코메디가 없다… 아 브끄러워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