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관람료 3번 인상한 CGV
설립 초기 금액에 비해 약 3배 가까이 올라
거리두기 해제된 이후로 티켓값 갑론을박 이어져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며 영화관이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영화관 측에서 적자를 줄이기 위해 냈던 방안들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팬데믹이 길어지며 영화관은 티켓값을 인상하거나 근무 인원을 축소하는 등 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해왔다. 티켓값은 펜데믹 이후로 무려 3번이나 인상됐다.

현재 대표 극장 중 하나인 CGV의 영화 관람료는 성인 2D 영화 기준 주중 1만 4천 원, 주말 1만 5천 원이다. 이는 설립 초기에 비해 약 2배 이상 비싸진 금액이다.

IMAX, 4DX, ScreenX 등 기술 특별관 역시 성인 기준 최소 1만 7천 원에서 최대 2만 7천 원까지 올라 있는 상황이다.

CGV 측은 “코로나19 이후 영업시간 제한과 띄어 앉기 등의 제약으로 관객이 급감해 영화관의 경영 위기가 가중됐다. 영화산업 생태계 전체가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며 고충을 토로한 바 있다.

실제로 CGV는 임차료 및 관리비 등 고정비 증가, 취식 금지로 인한 매점 매출 급감, 영업시간 제한 및 방역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인해 지난 2년간 약 3,668억 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하지만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이후로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가 5백만 관객을 돌파하고 마동석 주연의 영화 ‘범죄도시2’는 천만 관객을 돌파하는 등 무서운 기세로 다시 회복세를 보이자 관람료에 대한 지적이 끊이질 않고 있다.

누리꾼들은 “정상화되면 올렸던 만큼 다시 내려야 하는 거 아닌가요?”, “티켓값을 계속 올리는 게 해답은 아닐 텐데”, “적자 메꾸려면 한동안은 이렇게 가야지 이해한다” 등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특히 일부 직원들이 코로나로 감축했던 인력을 본사가 늘리지 않고 있다며 직장인 커뮤니티에 글을 남긴 것 역시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CGV 관계자는 이에 대해 “영화관람료를 영화계와 나눠 갖는 구조이다 보니 극장이 관객을 더 많이 오게 하려고 관람료를 낮추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메가박스 관계자 역시 “티켓값 인상은 경영난 외에도 물가 변동 요소도 고려한 것”이라며 “아직은 내릴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는 유명 커피 브랜드인 스타벅스와 CGV의 가격 인상 추이를 비교한 글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해당 글 속에는 1999년 3,000원이었던 가격이 2022년 4,500원이 된 스타벅스와 1999년 6,000원이었던 가격이 2022년 15,000원이 된 CGV를 언급하며 “스타벅스가 1.5배 올릴 동안 CGV는 3배 가까이 올랐다”며 분을 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티켓값은 꾸준히 올라간 데에 비해 영화관의 서비스는 예전 같지 않다는 평도 나오고 있는 만큼 영화관들은 현재 당면한 문제를 인지하고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