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강남점, 단일 점포 기준 매출 1위
시간 구애 받지 않는 고소득자가 주 고객
음식 취급하는 지하 1층, 3시가 가장 붐벼
코로나 19로 인해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은 프랑스의 갤러리 라파예트, 일본의 이세탄백화점 신주쿠점, 영국의 해러즈 런던점과 달리 이들을 제치고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단일 점포 기준 매출 1위에 올랐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국내 백화점 중 단일 점포만 기준으로 두었을 때 5년 연속 매출 1위를 달성하고 있는 곳이다.
코로나 19 상황에서도 전년 대비 매출 4500억원이 늘어났으며, 지난해 매출은 2조 5000억원 수준이었다.
한국경제신문이 데이터 전문 기업 로플랫을 통해 최근 6개월간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을 찾은 방문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오후 3시가 가장 붐비는 시간대로 밝혀졌다.
현대 무역센터점과 롯데 본점은 평일 오후 12시에 가장 붐볐고, 현대 압구정 본점은 평일과 주말 모두 오후 1시가 가장 붐비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백화점에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오는 시간대는 점심시간 전후이지만 신세계 백화점은 의외의 결과가 나타났다.
신세계 강남점의 피크타임이 오후 3시인 것은 주 고객층들이 평일 근무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 은퇴한 자산가, 자영업자 및 전문직, 전업주부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백화점 안에서도 고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은 신세계푸드마켓과 델리 코너가 위치한 지하 1층이었다. 지하 1층을 찾은 방문객 비율은 무려 42.78%에 달했으며 식도락을 목적으로 백화점을 찾는 사람이 많기에 백화점 측에서도 이 분야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어 신세계 강남점을 찾은 방문객의 거주지는 대부분 강남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보이며 ‘반포동 큰 손’이 주요 고객으로 나타났다. 신세계 강남점 방문객의 71.3%는 서울 시민이었으며, 방문객 6명 중 1명은 반포동 거주자로 집계됐다.
신세계 강남점 인근에는 평당 1억원이 넘어가는 반포자이, 반포센트럴자이, 신반포자이 등 고급 아파트들이 있어 근거리 거주민들의 높은 소득 수준이 강남점의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전체 방문객 중 백화점과 지하철역을 함께 거치는 비율은 22.7% 밖에 되지 않았다. 신세계 강남점은 고속터미널 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지만 대중교통을 통해 백화점을 찾는 비율은 현저히 낮다.
이에 네티즌들은 “백화점 식품관에 장 보러 가는 사람이 많아서 그렇다”, “아이들 하교 후 학원으로 데려다 주고 백화점 가서 장보는 스케줄”이라고 오후 3시가 붐비는 이유에 대해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