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는 한 모 씨는 5년 차 직장인이자 4개월 차 유튜버입니다. 월 50만 원 수익창출을 목표로 야심 차게 시작한 유튜브에서 한 씨는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는데요. 10분짜리 일상영상을 편집하는데 3~4시간이 꼬박 소요됐고 무엇보다 구독자는 시작한 지 3개월이 넘도록 한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결국, 한 씨는 최근 중고거래 플랫폼에 유튜브 장비를 내놓았는데요. 그녀는 “될 때까지 천천히 채널을 키워보려 했는데 편집하느라 퇴근 후 잠도 못 자 결국 본업에까지 지장을 미치더라”라고 토로했습니다.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억대 수익을 벌어들이는 사람들의 사례가 심심찮게 들리자 부업으로 유튜브 채널 운영을 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데요. 많은 이들이 도전장을 내미는 현상과 별개로 이렇다 할 성과를 이루기 전 채널 운영을 포기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고 합니다. 레드오션이 된 지 오래된 유튜브에서 억대 연봉을 벌어들이는 이들은 몇 %에 불과할까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이밖에 제태크 관련 콘텐츠로 유명한 유튜버 신사임당은 과거 PD로 일하던 시절 월급은 169만원에 불과했지만, 150만명에 달하는 구독자를 보유한 현재 월 3억을 번어들인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기도 했죠.
그러나 유튜브로 억대 연봉을 버는 경우는 극히 소수에 불과합니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유튜버 상위 1%의 1인당 연평균 수입액은 2억이지만, 하위 50%는 108만원에 불과했는데요. 최저임금 기준으로 환산한 월급이 182만2480만원임을 감안했을 때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절반 이상이 최저임금도 채 벌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죠.
한 글쓴이는 유튜브 장비 판매 글을 올리며 “1년간 나름대로 열심히 채널을 운영해보려 했지만,
정체된 구독자 수와 수익창출 실패로 유튜브 포기를 선언하는 이들이 속출하는 상황과 관련해 유튜브 코리아 관계자는 “이미 레드오션이 된 지 오래인 유튜브 시장에서 큰돈을 벌기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다”라며 “열심히 한다고 해서 다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많이들 포기하는 것 같다”라고 밝혔는데요.
또 다른 유튜브 관계자는 “수억의 제작비가 투입된 고질 영상 1편보다 제작비가 1만원도 채 안 되는 소소한 영상 백 편이 더 인기를 끌 수 있는 게 유튜브 생태계”라며 “남들과 똑같지 않은 나만의 고유한 매력을 무기 삼는 게 중요하다”라고 조언했습니다. 지금까지 생각만큼, 혹은 생각보다 훨씬 녹록지 않은 유튜브 생태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어느 직종이던 상위 1%의 화려함이 그 직업군 전체를 대변해 주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