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5만 원,
적정비용인가에 대한 논쟁 일어
‘식대 비용 꼭 넘어야 하는가’가 쟁점
최근 몇 년 사이 물가가 폭등하면서, 전반적인 가격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적정 가격 수준이라고 여겨졌던 것이 최근 물가 상승으로 인해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많다. 이런 흐름 속에서 사람들 사이에서는 적정 축의금 수준에 대한 논쟁이 이뤄지고 있다.
원래 적정 축의금 수준에 대한 논쟁은 그 이전에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유독 물가가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물가 기준이 달라져, 사람들은 적정 가격 수준에 대해 잘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기존에는 친한 정도에 따라서 5만 원 혹은 10만 원 정도를 내는 것이 기본적인 축의금 수준이라고 생각됐다. 그러나 최근 물가 상승으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5만 원을 내는 것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에 대해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논쟁은 바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글로부터 시작되었다. 직장 선배의 결혼식에 참석하고 왔다는 글쓴이는 자신이 축의금으로 5만 원을 냈는데, 결혼식 이후 선배로부터 “5만 원 한 거 맞아”, “내가 너한테 서운하게 한 거 있어?”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선배는 밥값이 8만 8,000원이라고 했는데, 자신은 밥값이 그 정도인지 알았어도 그대로 5만 원을 했을 것이라고도 전했다. 또한 자신과 선배의 관계에 대해, 자신은 결혼할 때 그 선배를 부를 만큼 친한 사이가 아니며 또 이번 선배의 결혼식도 작은 회사이기에 어쩔 수 없이 참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글쓴이는 자신이 결혼식에 참석하게 된 상황, 그리고 선배와의 친밀도를 설명한 후 글쓴이는 자신이 결혼식에 참석해 축의금으로 5만 원을 낸 것이 잘못인지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봤다.
이에 대해서는 누리꾼들의 생각은 팽팽하게 갈리며, 댓글에서는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무엇보다도 핵심이 되었던 쟁점은, 바로 축의금이 꼭 밥값을 넘어야 하는 것인지였다.
축의금은 말 그대로 결혼식을 축하하는 마음을 담아내는 돈인데, 꼭 밥값을 넘겨야 하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결혼식에 참석해 밥을 먹는 경우, 축의금이 밥값은 넘겨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요즘 물가 상승으로 인해 결혼식 밥값이 5만 원을 쉽게 넘어가는 상황에서, 최소 자신이 먹은 밥값은 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댓글로는 “밥값이 8만 8,000원인 거 알아도 5만 원 낼 거라는 건 무슨 염치냐”라고 글쓴이를 지적하는 글이 있었고, “요즘 결혼식 참석해서 밥 먹으면 5만 원 내기 미안하다”라는 댓글도 있었다.
또한 이와 반대되는 입장으로는 축의금은 이해타산을 정확하게 따지는 금액이 아니라,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주는 금액이니 꼭 식대를 넘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예시로는“축하해주러 오는 건데, 참석해주는 걸로 고마워해야지”, “누가 그렇게 밥값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했나” 등이 있었다.
이렇게 커뮤니티에서는 결혼식 축의금 적정 액수로 5만 원이 적당한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게 벌어졌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공통으로 동의한 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축의금 문화가 매우 지친다는 것이었다. 정말로 축하하는 마음을 담아 축의금을 전달하기보다는, 인간관계를 돈으로 환산하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 사람들의 생각이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축의금 문화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과거처럼 축의금을 받지 않고 사람들에 초대하거나, 해외처럼 정말 친한 사람들만 초대해 마음만 받자는 것이었다. 이렇게 현재 20·30세대 사이에서 축의금 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지자, 한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고물가로 인해 청년들이 생활비 부담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축의금 문화는 당연히 부담으로 다가올 수 없다며, 이러한 상황은 소득수준이 낮은데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