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특유의 기업문화 변화
위기의식에서 시작된 성장
시대의 흐름을 읽은 선택과 집중
대한민국 1등 기업하면 누구나 삼성그룹을 떠올립니다. 실제로 삼성은 자산규모에서도 재계 2위인 현대자동차그룹(220조)과 3위 SK그룹(217조)을 합친 것과 비슷한 400조입니다. 과거 LG, 현대, 대우와 재계 1위를 다투던 삼성이 어느 순간 치고 나가면서 지금의 재계 구조가 형성되었죠.
과거 대한민국의 경제가 급성장하던 80년대를 호령한 100대 기업 중 현재 살아남은 기업은 30%에 불과합니다. 세계를 호령하려던 대우그룹도 IMF 외환위기를 만나 산산이 조각나고 말았죠. 그런데 삼성은 어떻게 이 같은 위기를 넘어 2위와 초격차를 벌린 대기업이 될 수 있었던 걸까요?
◎ 삼성에 대한 흔한 착각
많은 사람이 삼성이 그저 성공 가도를 달려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삼성도 여러 차례의 위기를 겪었습니다. 지금 삼성 제품은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지만, 90년대 해외에서 팔리지도 않아 매자 구석에서 먼지만 쌓여가는 제품 중 십중팔구는 삼성 제품이었습니다. 이는 일본인 고문 후쿠다의 보고서와 함께 그 유명한 ‘프랑크푸르트 선언’으로 이어졌죠.
애초에 반도체도 만장일치로 진행된 사업이 아니었습니다. 과거 고 이병철 회장이 도쿄 선언을 통해 반도체 투자를 결정하고 이건희 회장이 직접 미국에 찾아가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 등 핵심 개발자를 영입했지만, 경영진은 ‘TV도 제대로 못 만드는 데 너무 최첨단으로 가는 것 아니냐’라는 반대를 지속했습니다. 품질중심으로 전환했지만, 이전의 기업문화가 만연해 ‘애니콜 화형식’까지 진행해야 했죠.
◎ 삼성 경영진의 기본 ‘위기의식’
삼성은 창업주 이병철의 경영학에서도 이미 국내 1위 기업으로 자리했었습니다. 이건희가 회장이 되었을 때도 삼성은 재계 1위의 기업이었죠. 그러나 이건희 회장은 삼성그룹 전체에 ‘위기의식’을 심으며 체질 개선에 나섰습니다. 이건희의 위기의식은 ‘공포 의식과 달리 회사가 가진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빠르게 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삼성을 성장시킨 원동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애플의 유일한 적수
노키아, 모토로라 등 수많은 휴대전화 브랜드가 있었지만, 지금의 휴대전화는 애플과 갤럭시가 양분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금은 당연한 것으로 비치지만 삼성전자가 휴대폰 시장에 처음 진출을 결정할 때는 90년대였습니다. 당시 휴대전화는 벽돌처럼 크고 불편해 지금처럼 필수품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보장이 없던 상황이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이건희 회장은 ‘반드시 1명당 1대의 무선 단말기를 가지는 시대가 온다’라며 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했습니다. 그렇게 1994년 애니콜의 브랜드의 첫 제품 SH -770이 탄생했죠. 이후 2009년 삼성의 피처폰 점유율은 2위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잠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던 이건희는 2010년 경영 복귀 후 피처폰이 아닌 ‘스마트폰’ 사업 집중을 지시하기에 이릅니다. 빠르게 피처폰을 포기한 삼성은 이후 갤럭시 시리즈를 이어가며 애플과 1, 2위를 겨루는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 이건희의 실패와 삼성의 운명을 바꾼 사진 한 장
삼성을 진두지휘한 이건희가 과거 아버지 이병철에게 반도체 사업을 제안한 건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병철은 한국반도체 인수를 끝끝내 수락하지 않았죠. 아버지의 동의를 얻지 못한 이건희가 자신의 돈으로 파산 직전의 한국반도체 지분 50%를 인수해 첫 경영에 나섰지만, 결과는 처참했습니다.
적자를 보다 못한 이병철이 김광호 이사에게 사업 정상화를 지시하고, 김광호 이사는 한국반도체를 세계 시계 칩 시장 점유율 60%의 흑자 회사로 만들어냈습니다. 의욕 가득했던 첫 실패 이후 이건희는 ‘부’직함을 달고 묵묵히 경영 수업을 받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능력을 인정받아 장남과 차남을 물리고 1987년 12월 이병철의 뒤를 이어 삼성그룹 회장직에 취임했죠.
이건희의 취임 이후 삼성은 10조 원대에 불과했던 매출을 2012년 기준 300조 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취임 당시와 비교할 때 삼성의 시가총액은 140배로 증가했고, 수출은 73.7배 증가했습니다. 일본의 자존심 소니 정도는 2005년 이미 제쳤죠. 이처럼 왕성하게 활동하던 이건희 회장이었지만, 2014년 5월 급작스럽게 쓰러져 현재까지도 병원 신세를 지고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을 논평한 한 언론인은 “반 기업 정서가 역사와 전통 속에 뿌리 깊게 박혀있는 한국에서 세계 모범 회사를 만든 건 놀라운 업적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이건희 관련 글에서 “이건희의 업적이 대체 뭐냐?”, “내가 이건희였으면 더 잘했다.”라는 댓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건희 회장이 해온 일이 있는 만큼, 그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끼쳤다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위기 속 삼성이 승승장구할 수 있었던 까닭은, 직원들의 노력과 나아갈 방향을 선택한 이건희의 경영 덕분임을 마냥 부정할 순 없겠습니다.
글 박찬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