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부유한 왕은 태국의 국왕
왕실자금 운영기관서 기업처럼 운영도
사우디 국왕은 여름 휴가에만 1천억 원
세계의 여러 국가 중에서는 아직 왕실이 존재하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왕실 가문의 왕족으로 태어나면 금수저가 아닌 다이아몬드 수저나 마찬가지인데요. 왕족이라는 권위로 막대한 부의 축적은 물론 명예까지 모두 가지게 되기 때문이죠. 왕족들은 왕실 대대로 내려오는 자산을 물려받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부자들보다 더 큰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등 일부 유럽 통치 왕실의 순 자산만 해도 여느 글로벌 기업 못지않은 수준인데요. 오늘은 어마어마한 재산을 가진 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개인 재산만 35조, 가장 부유한 국왕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왕은 태국의 마하 와치랄롱꼰 국왕입니다. 그는 아버지였던 푸미폰 전 국왕에 이어 태국의 새 국왕이 되면서 왕실의 재산도 물려받았는데요. 태국 왕실의 재산이 구체적으로 공개된 적은 없지만,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지난 2011년 태국 왕실 재산 규모를 약 33조 4,230억 원 이상으로 추정한 바 있죠. 태국 왕실 재산은 왕실자산부에서 관리하는데요. 대부분은 부동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왕실자산부는 수도 방콕시 중심부를 비롯해 태국 전역에 6,560ha의 토지 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방콕 1만 7천 건을 포함해 약 4만 건의 임대 계약을 맺고 있다고 합니다. 하루 약 20만 명이 찾는다는 방콕 중심가의 시암 파라곤 쇼핑센터도 이에 포함되죠.
또한, 태국 2위의 상업 은행인 시암 커머셜 뱅크와 태국 최대 기업인 시암 시멘트 지분 상당수도 외부에 공개된 왕실 재산입니다. 이 두 기업의 가치는 대략 약 9조 8,910억 원이 넘죠. 이외 보유한 보석류만도 값어치를 잴 수 없을 정도인데요. 세계에서 가장 큰 545.67캐럿 골든 주빌리 다이아몬드만 해도 140억 4천만 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됩니다. 마하 국왕의 개인 재산도 35조에 이르는데요. 왕족 자체의 부의 순위로 따지면 사우디아라비아가 약 2경 580조 원으로 최고이지만, 군주 개인으로 보면 태국 국왕이 1위라고 하네요.
◎ 지구에서 제일 큰 궁전을 보유
브루나이는 국내총생산 70% 이상이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에서 나올 만큼 석유재벌 국가입니다. 때문에 브루나이의 술탄 하사날 볼키아 역시 부유한 왕족 가문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죠. 그의 재산은 현재 약 220억 달러로, 즉 한화 24조 원을 가지고 있는데요. 비행기 조종 면허가 있는 볼키아 국왕은 자신의 재산 규모에 걸맞게 세계에서 가장 비싼 전용기를 여러 대 소유하고 있기도 합니다. 자동차 마니아이기도 해 슈퍼카 또한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 롤스로이스만 600대 넘게 가지고 있죠.
이스타나 누룰 이만으로 불리는 그의 호화로운 왕궁 또한 1,788개의 방과 256개의 화장실로 이뤄진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궁전의 가치는 약 4천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죠. 앞서 알 무티디 빌라 왕세자의 결혼식이 이 왕궁에서 거행되면서 주목을 끌기도 했는데요. 11일간 이어진 결혼식에는 6천여 명의 하객이 참석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연초 새해 설에만 개방하는 왕궁을 찾아오는 자국민에게는 세뱃돈으로 100만 원을 주기도 하죠.
지난 3월 있었던 한-브루나이 정상회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을 위한 국빈만찬에 청와대에서 같이 온 직원까지 모든 수행원을 초청해 통 큰 면모를 과시하기도 했는데요. 소수의 공식 수행원만 국빈만찬에 참석하는 관례를 깬 파격이었죠. 이 역시 국왕이 소유한 재산이 천문학적으로 많아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여름 휴가에만 1천 억, 돈 많은 석유왕
사우디 왕족들은 방대한 석유 매장량 덕분에 대대손손 부유한 생활을 누리고 있습니다. 국왕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사우디아라비아의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도 어마어마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의 순 자산은 약 20조 원으로 추정되는데요.
재산 대부분이 범아랍권 미디어그룹에서 나오고 있죠. 사우디 왕족은 범아랍 일간지 아샤르크 알아우사트와 알 에크티사디아를 포함한 미디어 그룹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살만 국왕은 모로코 탕헤르에도 여름 궁전을 가지고 있는데요. 휴가 기간에는 이 궁전에 머무르며 1천억 원가량을 썼다고 전해져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 부유한 만수르 집안의 위엄
아부다비의 할리파 빈 자이드 알 나하얀은 2004년 아버지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 나하얀이 병으로 사망하자 대통령과 아부다비 지도자 직을 물려받았습니다. 그는 UAE의 잉여 석유 매장량을 관리하는 아부다비 투자청장으로 재산을 모았는데요. 2018년 그의 자산은 약 16조 7천억 원으로 추정되죠. 그의 동생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만수르입니다. 만수르 빈 자이드 알 나하얀은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시티의 구단주이자 ‘하노칼’이라는 국제석유투자회사 소유주인데요. 만수르 가문의 보유 재산만 해도 약 790조 원에 달한다고 하네요.
◎ 부동산 사업으로 재산 부풀린 국왕
모로코는 주변 국가들의 몰락에 흔들리지 않고 꽤 안정적인 경제를 이끌어왔습니다. 1999년부터 모로코 국왕을 맡은 무함마드 6세는 모로코 전체 땅 면적을 아버지인 하산 2세로부터 물려받으면서 불과 15년 만에 부동산 사업으로 무려 3조 원대의 재산을 부풀렸죠. 무함마드 6세의 재산은 주로 모로코 민간지주회사 형식의 투자회사 국립투자협회에 대한 왕실 지분에서 나오는데요. 이들은 모로코를 포함한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 은행, 통신, 재생 에너지 분야 등에 투자합니다. 현재 무함마드 6세 왕실의 순 자산은 6조 3,400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 여왕의 개인 재산만 5천억 원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은 1952년 부친 조지 6세의 급작스런 서거로 왕위를 물려받게 됩니다. CNN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약 5,200억 원에 달하는 재산을 소유한 것으로 추산되는데요. 영국 내에서 300위 권에 드는 부자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여왕과 왕실은 크게 세 가지 수입원을 갖고 있는데, 정부에서 왕실에 제공하는 보조금인 왕실 교부금과 랭커스터 공국의 수익, 그리고 예술작품 등 개인 자산이죠. 2017년 왕실에 지급된 교부금은 약 1,100억 원으로 세 수입원 중 가장 컸다고 합니다. 여왕의 자금을 관리하는 랭커스터 공국에서 나오는 부동산 수익도 만만치 않은데요. 약 280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하죠.
여왕은 이렇게 얻은 수익을 사적 소비에 쓰거나, 다른 왕가 구성원에게 일부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엘리자베스 여왕은 스코틀랜드의 발모랄 성과 동잉글랜드의 샌드링엄 사유지를 소유하고 있는데요. 두 곳 모두 부친인 조지 6세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입니다. 뿐만이 아닌데요. 여왕은 진귀한 각종 우표와 예술품을 소유하고 있고, 주식 포트폴리오까지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