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
지난해 최대 적자 규모 기록
보수 67.3억 원 수령…삼성 회장보다 ↑

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회사가 적자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보수를 받아 주주들에게 뭇매를 맞고 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박 대표는 올해 상반기 급여 5억 8,000만 원에 상여금 28억 원을 받아 총 33억 8,000만 원을 수령했다.

동종 업계에서 진원생명과학과 비슷한 시가총액(7,500억~1조 2,000억 원) 수준을 보이는 바이오 기업을 살펴봤을 때 10배가량 높은 금액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진원생명과학과 비슷한 수준의 기업은 11곳인데, 이 중 대표가 5억 원 이상의 보수를 수령한 곳은 2곳뿐이었다.

더군다나, 진원생명과학은 18년째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영업적자 275억 원을 기록해 상장 후 가장 큰 적자 규모였다. 이 가운데 박 대표의 보수는 최근 3년 연속 오름세를 보였으며, 상여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 15억 원에서 28억 원으로 2배 가까이 높아졌다.

박 대표의 올 상반기 상여금 근거로 게재된 사항은 코로나19 부스터 전용 백신 미국 1상 수행과 mRNA 플랫폼 구축 및 암이나 자가면역질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성과 등이었다.

동종 업계의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는 국내 1호 백신 상용화를 이끈 공로로 올해 기본금 3억 5,000만 원에 상여금 34억 원을 받았다. 미국 1상을 수행한 박 대표와 안 대표의 상여금 차이는 불과 6억 원이지만, 두 기업의 시가총액은 8배가량 차이 난다.
박 대표의 보수는 재계 전반으로 봐도 높은 편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박 대표의 보수는 김기남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32억 6,400만 원),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18억 8,000만 원), 최태원 SK 회장(17억 5,000만 원),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17억 1,819만 원)보다 높았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주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가 계속해서 흘러나오고 있다.

종목토론방에서는 “대표 연봉이 67억이라는 게 말이되나”, “적자 회사에서 대표가 고액 연봉 받는 건 누가 봐도 이해 불가다” 등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한 누리꾼은 “이런 기업이 코스피에 남아있는 게 이상하다”며 “기업은 매년 적자인데, 대표 연봉이 60억 원이라니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