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서명 IRA 실행
전기차 보조금 무산 위기
美 생산량 올리기 급선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긴급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현대차그룹의 국내외 대관 업무를 총괄하는 공영운 현대차 사장도 정 회장과 함께 미국으로 향했다.
업계에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IRA(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로 인해 전기차 보조금을 받지 못하게 된 원인이 가장 클 것으로 보고있다.
현대차가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적어도 두 가지 걸림돌을 해결해야 한다. IRA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원자재가 미국 혹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일정 비율 이상 생산 혹은 제작된 것이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빨라도 2024년에나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다. 또, 중국산 소재가 들어간 배터리를 쓰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이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현대·기아의 전기차는 적어도 2~3년간 신차 기준 1,000만 원에 달하는 보조금을 받지 못하게 된다.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미국 내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상반기 세계 시장에서 329만 9,000대를 판매했다. 513만 8,000대를 판 도요타와 400만 6,000대를 판 폭스바겐에 이어 3위다.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는 테슬라(27%)에 이어 2위(14%)를 차지하며 한국 자동차의 세계화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있었다.
우선 미국 내 생산을 늘리는 게 급하다. 현대차그룹은 IRA 대응을 위해 미국 내 생산공장 착공을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는 원래 내년 상반기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공장을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착공 시점을 올해 말로 앞당기기로 했다.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이에 대해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LG 구광모 회장, SK 최태원 회장과 만나며 국가 차원의 해결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정 회장의 세부 일정에 대해 공개하지 않았다. 정 회장은 공항에서 만난 국내 언론이 방미 계획을 묻자 “전반적으로 일을 볼 예정”이라고 답했다. 방미 목적에 대한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약속을 해놓고 뒤집으면…국익우선주의에 멍이 드는군.바이든.우리에겐 나쁜 사람인가?
이런 멋진 2세3세 기업인들이 있는한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다.현대 자동차가 세계 1등 그릅이되길 국민으로쎄 기원합니다.
우리나라는 테슬라에게 보조금지급하는데 미국은 우리나라차 보조금 지급 안한다? 깡패가 따로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