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위
올해 상반기에 102억 수령
구광모 71억·최태원 17억
이재용, 명함도 못 내미는 이유
올해 상반기 국내 대기업 총수들의 보수가 공개되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른바 ‘연봉킹’에 등극한 인물은 누구일까.
대기업 총수 중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올해 상반기 보수 1위를 차지했다. 그는 올해 상반기에 102억 5,800만 원을 받았다고 한다. 지난해 상반기 보수는 79억 7,200만 원이었는데, 올해 상반기에 약 29% 늘어난 셈이다.
계열사별로는 롯데지주 42억 4,900만 원, 롯데케미칼 19억 1,500만 원, 호텔롯데 10억 6,100만 원, 롯데제과 10억 2,500만 원, 롯데쇼핑 9억 4,500만 원, 롯데칠성음료와 롯데물산 각각 5억 4,500만 원 등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롯데 측은 “급여는 지난해에 비해 소폭 증가했으나, 지난해 성과에 대한 지주 상여금이 지급되면서 보수 총액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17억 4,0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마트에서 급여 9억 7,000만 원, 상여 7억 7,000만 원 등을 받은 것이다.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은 급여 9억 4,000만 원, 상여 7억 5,000만 원 등으로 16억 9,000만 원을 받았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정재은 신세계그룹 명예회장도 신세계와 이마트로부터 각각 22억 5,000만 원씩 받았다고 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7억 5,000만 원을 받았다. SK(주)로부터다. 구광모 LG 회장은 71억 3,900만 원을 수령했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32억 5,000만 원을 받았다.
현대백화점그룹 일가에서는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이 각각 15억 600만 원, 6억 1,000만 원을 수령했다. 현대백화점으로부터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49억 6,8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고 한다. 지난해 반기보다 29% 늘어난 금액으로 유통그룹 중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뒤를 이은 셈이다.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은 11억 7,000만 원을 받았다. GS리테일에서 받은 것이다.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은 BGF리테일로부터 5억 5,000만 원을 수령했다.
반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순위에 명함을 내밀기도 힘들었다. 아예 무보수였기 때문이다. 그는 지난 2017년 국정농단 사건 관련 재판을 받기 시작한 이후 5년째 무보수 경영을 이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