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공무원 VS 삼성전자
공무원 경쟁률 감소 원인
낮은 연봉·공무원 연금 개혁 등

오늘날의 청년들은 직업을 택할 때 어떤 기준을 가장 중요시할까? 연봉·복지·워라밸·안정성 등 수많은 요소들이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그중 높은 안정성을 상징으로 하는 직업은 ‘공무원’이 대표적이고, 높은 연봉과 복지를 자랑하는 직업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카카오 등의 대기업 직원이 있다.

이처럼 각 사람은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직업을 선택할 텐데,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7급 공무원삼성전자를 비교하는 글이 올라와 화제가 됐다.

얼마 전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삼성전자 vs 7급 공무원‘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 작성자는 둘 중 어떤 선택을 할 것 같은지 질문을 던지며 설문을 유도했다.

투표에 참여한 이들은 총 504명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삼성전자를 택한 사람들이 266표로 52.8%, 7급 공무원을 택한 사람들이 238표로 47.2%였다.

댓글 내용을 보면 주로 연봉 때문에 삼성을 택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평범한 집이면 삼성, 집 좀 살면 7급”, “대기업 1년 있다 7급으로 왔는데 급여가 너무 적다”, “무조건 삼전” 등의 반응이 있었다. 다만 누리꾼 중 일부는 “돈 걱정 안 하면 7급 가야지. 나이 먹고 편하게 다닐 수 있다”, “가치관 차이” 등의 의견을 내기도 했다.

이처럼 다수의 직장인들은 7급 공무원에 비해 대기업 삼성전자를 택한 사람들이 많았는데, 과거 ‘신의 직장’으로 불리던 공무원의 위상은 예전 같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공무원의 경우 정년까지 일할 수 있다는 안정성에 연금, 워라밸 등의 메리트가 있어 선호도가 높았지만 최근 사기업에 비해 낮은 연봉, 공무원 연금 제도 개편 등의 원인으로 인기가 떨어진 것으로 원인을 분석했다.

실제로 국가 공무원 공채시험 경쟁률을 살펴보면 2018년 41 대 1이었던 9급 공무원 경쟁률은 2022년 29.2 대 1로 내려왔고 7급 공무원 경쟁률 또한 2016년 76.7 대 1에서 2022년 42.7 대 1로 내려와 43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그러면 도대체 어느 정도로 연봉이 차이 나길래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일까? 올해 7급 공무원 1호봉의 월 기본급은 192만 9,500원으로 각종 수당을 더할 경우 월 250만 원에 연봉은 3,800만 원 수준이 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3월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을 기존 4,450만 원에서 4,800만 원으로 올린데 이어, 최근 또 한 번 5,150만 원으로 올렸다. 여기에 초과이익성과급과 같은 인센티브를 반영할 경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신입사원은 연봉으로 9,000만 원 수준을 얻게 된다.

다만 공무원은 비교적 낮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높은 연금 수령액으로 보전하고 있었는데, 2016년 이후 공무원 연금의 본인 기여금은 7%에서 9%로 올라간 반면 지급률은 1.9%에서 1.7%로 하향 조정됐고 현 정부 들어 연금 개혁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나오면서 더욱 메리트가 떨어지고 있다.

정년보장과 안정적인 일자리, 공무원 연금을 보며 박봉을 감수하고 공무원을 택했던 청년들. 최근 장점은 줄고 업무 강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이를 포기하고 다른 선택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5
+1
6
+1
2
+1
14
+1
19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38 전체 댓글

  1. 참 기가찮다 어찌 공무원7급이랑 삼성전자랑 비교를 하나? 공무원은 거지들이지
    비교란 비슷한 것 끼리 한거야
    5급행정고시랑 비교해도 삼성전자가 훨씬 좋지 초봉만 비교 하면 안되지 삼서전자는 임원이 되면 대통령 월급보다도 훨씬 많고 퇴직금도 엄청나고 비교 할것을 비교해야지

  2. 아니 방구석여포 개백수들이 여기서 이러는거보니까 한심하다 공시가 드렇게 쉬우면 부모님 속쏙이지말고 본인이 시험쳐서 합격할것이지 좋소다니는 얘들이 저러는거 보니 웃음이 나온다 ㅋㅋㅋ

  3. 삼성전자 신입사원입니다. 백번 다시 선택하라해도 삼성 선택할거같습니다. 돈도 돈이지만 삼시세끼 밥나오는거랑 우등좌석 통근버스가 가장 체감이 큰 복지네요.

  4. 니들이 몇십년만 더살면서 세상풍파 겪어봐라….
    공무원이 얼마나 좋은 직장인지 말안해도 알 듯…
    어디 삼전 따위를 ㅋㅋㅋ 몇년 일하지도 못할텐데…

  5. 실제론 9급이 3500수준이고 7급은 더 받긴 함. 문제는 정부가 공무원이 무조건 희생해야한다는 걍요로 타기업들 임금 9프로 올릴때 1-2퍼 올라가서 실질적으로 매년 임금 삭감 당하는 직업이라 선호도가 떨어지는중

  6. 삼성보다 공무원이 100% 더 좋아 ~ 당연한거다~~ 삼성에서 정년퇴직 어렵고 되어도 노령연금150만원 이고 공무원은 월급도 거의 1천 이고 노령연금도 450만원인데 바보 아닌이상 공무원이지

  7. 삼성보다 공무원이 100% 더 좋아 ~ 당연한거다~~ 삼성에서 정년퇴직 어렵고 되어도 노령연금150만원 이고 공무원은 월급도 거의 1천 이고 노령연금도 450만원인데 바보 아닌이상 공무원이지

  8. 업무야 둘다 힘드니 둘쨰치고 10년동안 연봉 7천~1억받는거랑 30년동안 연봉 3천~6천받고 다니는걸 비교해야지…
    개인적으로 삼전이랑 7급은 입사 난이도는 비슷하다고 봄
    20년 뒤에 생각해보면 극소수의 삼전 임원 빼고는 공무원이 낫다고 할걸

  9. 뭘 모르는군/허기사 기자가 대학 졸업하고 언론사에 취직하다보니 사회 경험이 하나도 없지/판사도 그렇지만/그래도 공무원이 최고. 뒷돈이 들어오니까. 공사 발주 가격의 10%는 기본이야. 퇴직하면 공사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