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한전기술 지분 매각
이미 1,300억 원 대의 자산 매각
“민영화 안 한다” 상반된 움직임

사상 최악의 경영난에 빠진 한국전력은 올해 연말 적자가 무려 3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놓였다.

이에 한전에서는 전기 요금 인상으로 적자폭을 메우기로 결심했고, 결국 7월 1일부로 전기 요금을 kWh 당 5원씩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전력은 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또 하나의 대책을 내놓았는데, 누리꾼들은 이것을 민영화를 위한 움직임으로 보고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다.

7월 19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지난 6월 24일 이사회를 통해 한전기술 지분의 14.77%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한전은 이전부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지분 매각을 추진해왔다.

특히 올해 1분기에 7조 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었고 ‘한전기술 보유 지분 매각’을 포함한 여러 자구안을 발표했다.

사실 현재 한국전력에서는 이미 1,300억 원에 이르는 자산 매각을 마무리한 상태이다.

이를테면 한전은 신안 태양광 투자비 125억 원을 회수하고, 한전기술 용인 사옥을 1,000억 원에 매각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다.

한전의 연말까지의 계획을 살펴보면 우선 한전에서는 올해 안에 2,000억 원대에 이르는 필리핀 세부 석탄화력발전 사업을 매각할 예정이며, 경상경비 절감과 출연사업 재검토를 통해 약 1조 5,000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한편 누리꾼들은 한국전력이 보유 중인 한전기술의 지분을 매각한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민영화 준비작업 아닌가’, ‘전기요금 올릴 때부터 그럴 줄 알았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지난 6월 26일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추진에 대해 “우리 국민 전반에 기본적인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철도, 전기, 가스, 공항 등 공기업 민영화는 검토한 적도 없고 검토할 계획도 없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국민들은 최근의 흐름을 보면 한전의 행보는 민영화를 향한 움직임으로 보인다며 지적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3
+1
1
+1
2
+1
29
+1
1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18 전체 댓글

  1. 문재인 대통령 후보시절 탈원전정책 토론회에서 부터 한전이 큰 문제로 이슈가 될것이라고 예측했었다. 문죄인이 쌓놓은 똥 큰소리 첬던 더블당이 치워라.

  2. 이게 다 문제인의 성과^^ 고리원전1호폐기, 신고리5호, 6호 건설 중지 탈원전으로 원전 확대 중지, 이리되니 당연히 플루토늄보다 압도적으로 비싼 석탄 석유쓰게 만들고..이미 그이전부터 진작에 파는전기보다 사는 원자재가 비싼 비정상적인 상태를 몇년을 유지했으니 30조난것도 싼거지..다 다음정권한테 전기료 대폭인상 시키라는 문제인의 참뜻^^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