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보고서 눈길
‘성격’ 가장 많이 봐
성별에 따라 2순위는 차이

한국인들이 배우자선택할 때 어떤 것을 가장 많이 따져볼까. 최근 이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보고서가 공개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문체부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63.1%가 ‘성격’이라고 답했다.

그다음으로는 ‘직업(장래성)’이 13.7%, ‘재산(경제력)’이 10.7%, ‘가정환경’이 8%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는 문체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한다.

올해로 조사는 8번째를 맞았다. 지난 1996년에 시작, 2013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성격은 과거 조사 땐 어떤 순위를 차지했을까. 1996년 첫 조사부터 성격은 매번 배우자 선택 기준 1순위를 차지해왔다.

다만 성격을 1순위로 선택한 비율은 지난 2019년 조사 결과에 비해 4.2% 감소했다. 반면 직업(장래성)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1996년부터 꾸준히 증가 추세다.

성별로 보더라도 남녀 모두 성격을 가장 중시했다. 남성 응답자 2,568명의 64.3%는 배우자 선택 기준 1순위로 성격을 꼽았고, 여성 2,532명 역시 61.9%가 성격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장래성)과 재산(경제력)을 응답한 비율이 각각 4.2%p, 2.3%p씩 높게 집계됐다.

성별에 따라 2순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가정환경(28.8%)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성은 재산(경제력)이 29.1%로 2순위를 차지했다.

연령에 따라 살펴보면, 고연령일수록 ‘가정환경’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아졌다. 청년층의 경우 직업(장래성)을 2순위(26.9%)로 가장 많이 꼽았다. 장년층은 25.6%가 재산(경제력), 중‧노년층의 경우 가정환경(28.5%, 30.8%)을 택했다.

‘혼전순결을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그렇다’가 42.4%, ‘그렇지 않다’가 57.6%로 집계됐다.

성별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혼전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청년층은 23.4%가 혼전순결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고, 노년층은 65.7%가 지켜야 한다고 했다.

결혼에 대해서는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17.6%에 불과해 1996년부터 지속해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누리꾼들은 “성격이라고?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나중에 보는 것 같은데…”, “현실은 성격 더러워도 돈 있는 사람이 결혼은 훨씬 더 잘하더라”, “성격은 남녀 모두 중요하다고 본다”, “성격이 가장 중요하긴 하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