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자 상위 0.1%의 연봉 금액
중위 소득자 총 급여의 28.8배에 달해
근로자 연봉 높은 지역 vs 낮은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사회에 나와 경제 활동을 한다. 하지만 일을 한다고 해서 다 같은 직장인이 아니다. 산업과 직군의 종류에 따라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천차만별의 돈을 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정도 수입을 얻어야 ‘돈 좀 번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상위 1%와 0.1%의 사람들의 연봉 금액은 얼마나 될까?
지난 9월 4일 국세청에서는 국내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소득자들의 연봉을 구간별로 조사해 결과를 내놓았다.
우선 자료에 따르면 상위 0.1%의 근로소득자 연평균 근로소득은 8억 3,339만 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6,576만 원(8.6%) 늘어난 수치이다.
다음으로 상위 1% 근로소득자들은 일 년에 2억 8,560만 원을 번다고 집계되었는데, 전년도의 경우 2억 744만 원이었으니 7,816만 원이 증가한 것이다.
급여 수준이 상위 10%인 근로소득자들은 일 년에 1억 1,992만 원을 번다고 조사됐다. 이 경우 전년도인 1억 1,652만 원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주의 깊게 볼만한 내용은 연봉 수준이 높은 상위 0.1%와 1%의 근로소득자들과 중위 소득자들의 수입 격차가 더욱 심화했다는 사실이다.
조사에 의하면 국내 근로자 중 중위 소득자의 연평균 수입은 2,895만 원으로 전년 대비 71만 원 밖에 늘지 않았다. 즉 상위 0.1%인 근로소득자들의 수입은 중위 소득자 대비 28~29배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연봉을 단순히 평균으로 나눌 경우 연 소득은 3,828만 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위 20%의 근로소득자는 일 년에 614만 원을 벌고 있으며 이들의 수입은 전년 대비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또 다른 조사에서는 근로소득자들의 평균 연봉을 지역별로 분석해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에서 근로소득자들의 연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로 나타났다.
강남구 주민들의 1인당 평균 연봉은 7,440만 원으로 전국 평균 금액보다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총 급여액이 많은 지역은 서울 서초구(7,410만 원), 용산구(6,470만 원), 경기 과천시(6,100만 원), 서울 송파구(5,190만 원), 경기 성남시(5,000만 원) 순으로 밝혀졌다.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 중구가 2,520만 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그다음으로 대구 서구(2,590만 원), 경북 의성군(2,820만 원), 전북 부안군(2,860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진행시켜
생각하는 만큼 나왔네 사람들 다 SNS나 인스타보면서 다 잘사는줄 아는데 50% 이상이 3천 안되지
종부세 대상자도 아니고 최저생계비도 안 되는 연금으로 간신히 살아가는 사람이 소득 상위 12%에 든다고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되었는데 연봉 1억2천인 사람이 소득 상위 10%라니 말이 되나? 이런 엉터리 통계를 어떻게 믿나?
상위몇퍼면 그래도 몇십억이상은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그정돈 아니네…
생각하는 만큼 나왔네 사람들 다 SNS나 인스타보면서 다 잘사는줄 아는데 50% 이상이 3천 안되지
상위 0.1%면 최소 임원인데 당연한걸 기사로 구지 ㅋㅋ…쓸 기사가 그렇게 없냐?
나와는 상관없는 저 달나라 이야기인데.. 점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는군!!
0.1프로라면 그래도 몇십억이상은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그정돈 아니네…
생각하는 만큼 나왔네 사람들 다 SNS나 인스타보면서 다 잘사는줄 아는데 50% 이상이 3천 안되지
하위20퍼는 감소아냐?
하위20퍼는 감소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