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아나운서, 대기업 출신 배우는 봤어도 ‘프로파일러’출신 배우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특채 프로파일러 1기 수석 출신으로 5년간 여러 사건에서 활약한 김윤희 배우인데요. tvN 드라마 ‘시그널’에 얼굴을 비추기도 했죠. 경찰로만 8년을 근무했다는 그녀. 어떻게 배우의 길에 들어오게 된 걸까요? 그 자세한 이야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희귀 직업인 프로파일러는 범죄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학, 사회학은 물론 수년간의 현장 경험과 박사학위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김윤희는 대학에서 심리학을 복수전공했는데요. 범죄심리학에 관심이 있어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에서 공부를 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그는 검찰 범죄심리분석관으로 합격했습니다. 약 6개월 정도의 훈련과정 끝 서울지방경찰청 소속으로 활동해 약 5년간 프로파일러로 일하죠.
김윤희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던 정남규 사건을 담당하며 면담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서울 양천구 신정동에서 발생한 미제 사건 일명 엽기토끼 사건으로 불리는 신정동 살인사건에 투입되어 전문적인 프로파일링 활동을 했습니다. 프로파일링은 경찰 소속이기 때문에 김윤희는 경찰로 일을 시작했는데요. 퇴직하기 전까지 8년이라는 시간을 경찰로 서울청 과학수사과의 범죄분석팀에 소속되어 있었죠.
그의 유일한 스트레스 창구는 뮤지컬, 영화 보기였는데요. 뮤지컬을 보면서 저 무대에 서보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습니다. 그는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라는 의문을 기반한 프로파일링을 스스로 시작했죠.
김윤희는 현장에서 자신이 경험한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프로파일링이 어떻게 수사에 활용되는지, 실제 수사현장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며 수사 자료, 소품 등의 자문에도 참여했는데요. 실제로 홍은동 살인사건의 모델이었던 신정동 살인사건의 희생자 역할을 맡으며 배우로도 드라마에 출연했는데요. 신정동 살인사건은 그가 프로파일러 시절에 프로파일한 사건으로 더 의미가 깊었습니다.
김윤희는 좋은 배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될 것 같냐는 질문에 “진짜를 말하는 배우”, “자기 역할을 잘 소회해낼 수 있는 배우”라고 말했는데요. 작은 역할일지라도 그 역할을 멋지게 소화해 낼 수 있는 배우가 되는 것이 목표라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가는 프로파일러 출신 배우 김윤희의 앞날에 꽃길만 가득하길 응원해봅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
1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