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미분양 1만 가구
청약 불패 시장 대구 서구
미분양 물량 3배 폭증

대구 지역의 미분양 물량이 11년 만에 1만 가구를 넘어섰다. 대구 미분양이 1만 가구를 넘어선 것은 2011년 8월 이후 11년 만이다. 대구는 신규 물량 대부분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대구 수성구의 미분양은 8월 2,073가구에서 9월 3,044가구로 급증했다. 달서구와 중구도 같은 기간 미분양 물량이 늘었다.

같은 기간 달서구는 2,049가구에서 2,306가구, 중구는 967가구에서 1,066가구로 늘었다. 청약 불패 시장이었던 대구 서구는 289가구에서 1,055가구로 미분양 물량이 세 배 증가했다.

수도권 지역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충남 천안, 경기 안성·평택, 울산 미분양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국에 미분양 공포가 퍼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분양 물량 증가 속도와 미분양 공식 통계에서 빠진 공공물량 등을 따져보면 이미 경고등이 켜졌다고 보고있다.

안성은 565가구에서 1,468가구로 미분양 가구가 세 배 가까이 늘었다. 평택은 더 심하다. 8월 27가구에서 1,329가구로 폭증했다. 울산 울주군은 672가구에서 1,323가구, 충남 아산은 551가구에서 1,101가구로 늘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4만 1,604가구로 전월 대비 8,882가구(27.1%)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공 물량과 30가구 미만 단지, 도시형생활주택 등은 미분양 물량 공식 통계에서 제외된다. 이 물량을 더하면 실제 미분양 증가세는 훨씬 가파를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분양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규제 완화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달 국토교통부는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규제지역 추가 해제를 추진했다.

정부는 서울, 과천, 성남, 하남, 광명을 제외한 전 지역을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해제했다. 주거정책심의위는 서울의 경우 주변 지역 파급 효과와 개발 수요, 높은 주택 수요를 고려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서울과 붙어있는 경기도도 개발 수요가 높아 조정대상지역을 유지하기로 했다.

고금리로 부동산시장이 냉각되자 정부는 두 달 만에 규제지역 추가 해제에 나섰다. 새 정부 들어 지난 6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규제지역이 해제됐다. 규제지역 해제는 관보 게재가 완료되는 오는 14일 0시를 기해 효력이 발생한다.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 대출과 세제·청약·거래(전매 제한) 등 집을 사고파는 전 과정과 관련한 규제가 크게 완화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