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엘레망 와인샵
멤버십 주요 고객 재벌가
연 회비 1,100만 원
지난달 재벌가 가족 A씨가 SNS에 올린 사진에 일부 와인 애호가가 열광했다. 평범한 프랜차이즈 치킨과 함께 곁들인 와인 세 병이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수천만 원대 고급 와인이었기 때문이다.
이날 한 자리에서 찍힌 와인 세 병은 로마네꽁티 1991년산, 몽라셰 그랑 크뤼 2011년산, 스크리밍 이글로 모두 최고 수천만 원대를 호가하는 고급 와인이다.
로마네꽁티 1991년산은 현재 국제 시장에서 2만 3,000달러(약 3,32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올해 8월에 2017년산이 관세를 포함해 7,900만 원에 판매됐다. 몽라셰 역시 고가 와인으로 2011년산 와인은 현재 4,000달러(약 580만 원)에 판매 중이다. 국내 소매 판매가는 1,000만 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스크리밍 이글은 매년 약 600상자(약 7,200병) 정도만 만들어 희소가치가 매우 높다. 이 와인을 사려면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려놓고 무작정 기다려야한다. 차례가 오면 우편으로 통보하는데 아무리 빨라도 12년 정도 걸린다.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도 1인당 3병만 살 수 있고, 일반 소비자는 경매에서나 스크리밍 이글을 한두 병 만날 수 있다.
국내에서 이런 희귀 와인을 한 자리에 놓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와인 리스트에 올려놔도 살 수 있는 소비자가 극히 한정적이고, 애초에 재고를 남길 만큼 시장에 풀린 물량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 어려운 일을 해낸 것이 최근 서울 광화문 인근에 문을 연 와인 판매점 ‘엘레망’이었다. 겉보기에는 다른 와인 판매점과 크게 달라보이지 않지만, 매장 한편에 마련한 ‘파인 와인 존’은 다른 세상이다. 이 구역에는 고가 희귀 와인 수백 병이 즐비하다. 일반 소비자는 살 수 없고, 오직 멤버십 회원들 몫이다.
엘레망 멤버십 가입비는 1년에 1,100만 원이다. 멤버십에 가입하면 파인 와인 존에서 희귀 와인을 산 후 매장에 마련한 특별 프라이빗 룸에서 바로 마실 수 있다. 공간 이용료는 5시간에 55만 원이며 가입비에서 차감한다. 공간 이용은 연간 최대 4번으로 제한되며, 나머지 880만 원은 가입 이후 1년 동안 엘레망에서 와인을 살 때 현금처럼 쓸 수 있다.
고가 멤버십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와인 바는 2000년 초반 성행하다 2012년 금융 위기가 닥치며 상당수 자취를 감췄다. 현재는 1992년 문을 연 이태원 ‘더 젤’, 롯데호텔이 롯데월드타워 107층에 연 ‘시그니엘클럽’ 등이 멤버십 와인바로 유명하다.